조은영

조은영

전공임상심리, 심리학, 재활심리
연락처 a220242@chamc.co.kr

학력

  •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박사(임상심리학 전공)
  •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석사(임상심리학 전공)
  •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학사


  • 수상내역
  • 2019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정책 수요조사 RFP 우수과제 장려상

경력

  • 현)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심리대학원 겸임교수
  • 현)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겸임교수
  • 현) 분당차병원 재활의학과 심리실장
  • 전) 신촌세브란스 재활병원 재활심리실 임상심리전문가 레지던트과정 수련
  • 분당제생병원 재활의학과 임상심리전문가
  • 용인세브란스 재활의학과 재활심리실장


  • [자격]
  • 한국심리학회 공인 임상심리전문가 818호
  • 산업인력공단 임상심리사
  • 2023 ADOS-2(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) Introductory & Toddler Module Training / UCSF San Fransisco, USA
  • 2024 ADOS-2((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) Advanced Training / UCSF San Fransisco, USA


  • [학회활동]
  • 현) 한국심리학회 심리검사심의위원회 심의위원
  • 현) 한국심리학회 치매정책지원 위원

논문

    [연구논문]
  • 1) Cho, E., Choi, S., Demeyere, N., Kim, R., Lim, I., & Kim, M. (2025).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Oxford Cognitive Screen (K-OCS), a Post Stroke-Specific Cognitive Screening Tool.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, 49(1), 5–14.
  • 2) Cho, E., Choi, S., Demeyere, N., Hwang, S. S. S., & Kim, M. (2024). The Korean version of the Oxford Cognitive Screen (K-OCS) normative study.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, 48(1), 22-30.
  • 3) Cho, E., Choi, S. (2020). Review of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Tools for Cognitive Impairment Post-Stroke.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, 27(3), 49–63. (KCI)
  • 4) 조은영, & 곽은희. (2012). 실패 피드백 이후 내현적· 외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분노와 분노표현 양식. 재활심리연구, 583-599.
  • 5) Cho, E. (2025). Preliminary Study on Enhancing Adherence to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(CCT) in Older Adults: A Key Factor for Effective Intervention. Japanese Psychological Research. (Under Review)
  • 6) Cho, E. (2025). Comparison of Biomechanical Parameters during Level Walking According to Depress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: A Pilot Study. Scientific Reports. (Under Review)


  • [연구과제]
  • 1) 알츠하이머 환자에서 인지와 신체기능 훈련의 효과 2022-현재
  • 2) 발달장애 시지각 평가도구(Beery-VMI)의 인공지능 기반 분석 솔루션 2022-현재
  • 3) 뇌졸중 후 인지저하 평가를 위한 옥스포드 인지선별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검증 연구 2021-현재
  • 4) 뇌졸중 환자와 정상 성인 임상데이터 수집을 위한 연구 2021-현재
  • 5) 주관적 인지장애 환자에서 제대혈 세포 투여시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를 위한 파일럿 연구 2019 종료
  • 6) 보건복지부 '건강한 미래를 결정하는 소아 의료난제 극복 디지털 의료기술개발 플랫폼 구축' 2022~현재
  • 7) 산업통상자원부 '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경두개자극 및 디지털치료기기 융합 시스템 개발' 2025년~현재


  • [공동그룹연구]
  • 2021-현재. Department of Experimental Psychology, the University of Oxford와 연구 협력중으로 인지재활과 관련한 프로그램 개발, 신경심리평가도구 개발 진행 중
  • 2023-현재 .소아 BIG BRAIN 서울대학교 심리학과, 고려대학교 심리학과, 분당차병원 재활의학과 공동연구 소아/청소년 뇌인지발달에서 신경과학, 유전, 환경유인과 상호작용에 관한 데이터 연구

저서/역서/편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