차 의과학대학교
CHA University
대학원소개
인사말
대학원소개
연혁
연락처
교육과정
교육과정
교수진
입학안내
커뮤니티
공지사항
학사일정
자료실
갤러리
대학원 소식
원우회
유관기관
상담심리학과
차 심리상담센터
대학원소개
인사말
대학원소개
연혁
연락처
교육과정
교육과정
교수진
입학안내
커뮤니티
공지사항
학사일정
자료실
갤러리
대학원 소식
원우회
유관기관
상담심리학과
차 심리상담센터
Home
>
김지영
김지영
강민철
고유림
김기환
김지연
김지영
부원장
김하나
김효정
박경련
윤정미
윤정혜
조아라
조은영
조현석
최태규
대학원장
홍승현
이예슬
김지영
부원장
전공
임상 및 상담심리, 긍정 임상심리, 심리평가, 인지행동치료
연락처
031-850-9027
morie02@cha.ac.kr
학력
서울대학교 심리학과(임상상담심리 전공) 박사
서울대학교 심리학과(임상상담심리 전공) 석사
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
경력
현) 차 의과학대학교 심리학 전공 교수
현) 차 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부원장
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
삼성엔지니어링 휴 상담센터 전문상담원
마음사랑 인지행동치료센터 전문상담원
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전문상담원
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/소아정신과 임상심리 레지던트
자격
보건복지부 공인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
한국임상심리학회 공인 임상심리전문가
논문
정지영, 김지영(2025). 한국판 수면 문제 수용 척도(K-SPAQ)의 타당화 연구. 한국심리학회지: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, 11(3), 401-426.
최은영, 김지영(2025). 대인외상경험이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: 고통감내력과 분노반추의 병렬매개효과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25(4), 323-326.
김민경, 최태규, 김지영(2024). 초기 부적응도식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: 감정표현불능증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이중매개효과. 한국심리학회지: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, 32(4), 1715-1741.
김은영, 김지영, 박선영(2024).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보상 경험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: 대인관계 지향성에 의해조절된 자기 조절력의 매개효과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24(6), 275-286.
여선경, 김지영, 박선영(2024). 한국판 성인 피부 뜯기 차원 척도의 개발 및 타당성 검증. 한국심리학회지: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. 10(1), 161-182.
천희창, 김지영(2021). 코로나-19 상황에서 대학생의 성격강점이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: 역경후 성장의 매개효과. 한국심리학회지: 건강, 26(4), 739-761.
윤여주, 김지영(2020). 청소년의 고통 감내력과 우울 및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. 청소년학연구, 27(6), 1-21.
김지영(2019). 남녀 중학생의 성격강점 군집에 따른 행복의 차이. 청소년학연구, 26(1), 107-127.
김지영(2019). 연령대별 성격강점의 발달모형: 한국인의 연령집단에 따른 성격강점 비교 및 문화적 특성. 한국심리학회지: 건강, 24(3), 607-630.
김지영(2018). 강점의 군집유형에 따른 행복과 우울의 차이. 한국심리학회지: 건강, 23(3), 657-675.
홍성표, 김지영(2017). 공군 조종사의 소명의식 및 주관적 안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. Crisisonomy, 13(11), 47-61.
김지영(2016). 성격강점과 행복의 관계: 초·중·고등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. 한국심리학회지: 건강, 21, 845-859.
김지영(2016). 행복 3요소와 성격강점 간의 관계. 미래사회, 7(1), 59-76.
김지영, 권석만(2015). 성격강점과 성격장애가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. 한국심리학회지: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, 1(1), 1-19.
김지영(2015). 강점개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: 강점집단, 통합집단, 약점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. 한국심리학회지: 건강, 20(3), 495-513.
김지영(2014). 대학생의 성격강점 및 덕성과 성격장애와의 관계. 청소년학연구, 21(11), 75-99.
김지영(2014). 대학생의 성격강점 비교: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만족도를 중심으로. 미래사회, 5(1), 79-95.
김지영, 권석만(2013). 성격강점의 인식과 활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. 한국심리학회지: 임상, 32(4), 783-802.
김지영, 권석만(2009). 용서특질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. 한국심리학회지: 일반, 28(1), 239-261.
김지영, 권석만(2008). 인지행동적 가족치료이론의 개관: 가족도식 및 가족신념을 중심으로 인지행동치료, 8(2), 1-26..
김지영, 신민섭(2004). 강박장애 환자의 인지행동 치료. 인지행동치료, 4(2), 97-106.
김지영, 신민섭, 권석만(2004). 편집성 성격성향자의 자기·타인 표상 및 지각된 부모 양육행동과의 관계. 한국심리학회지: 임상, 23(4), 919-935.
권석만, 김지영(2002). 자기 및 타인 표상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. 한국심리학회지: 임상, 21(4), 705-726.
저서/역서/편서
[저역서 및 연구보고서]
MMPI 검사: 성격 및 정신병리 평가(2023). 학지사. 공역.
긍정 임상심리학 핸드북(2022). 학지사. 공역.
외상 후 성장의 과학: 역경을 삶의 지혜로 바꾸는 안내서 (2018). 학지사. 공역.
성격강점검사: 청소년용 전문가 지침서 (2012). 학지사 인싸이트. 공저.
성격강점검사: 전문가 지침서 (2012). 학지사 인싸이트. 공저.
아동·청소년 로샤의 이론과 실제 (2007). 학지사. 공저.
MMPI-2 성격 및 정신병리 평가 (2007). 시그마프레스. 공역.
웩슬러 지능검사를 통한 아동 정신병리의 진단평가 (2005). 학지사. 공저.
정신분석적 사례이해 (2005). 학지사. 공역.
서울대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-고급과정-의 개발 (2011).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.
서울대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 (2009).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.
법관 임용시 바람직한 인성평가 방안 (2009). 법원행정처.
초등학생의 학습잠재력 및 사회성 평가도구세트 개발 연구 종합보고서 (2007). CTL 네트웍스.